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📘 2025년 기초연금 안내

by jiwon1108 2025. 5. 16.
반응형

 

 2025년 기초연금 안내

📌 요약

  • 지원 대상: 만 65세 이상,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대한민국 국적의 국내 거주자
  • 지원 금액: 최대 월 342,510원 (단독가구 기준)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,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, 온라인 신청
  • 신청 시기: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
  • 문의처: 보건복지상담센터 129, 국민연금공단 1355

🎯 지원 대상

  • 만 65세 이상인 분
  •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국내에 거주하는 분
  •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분
    • 2025년 기준 단독가구: 월 2,280,000원 이하
    • 2025년 기준 부부가구: 월 3,648,000원 이하
  • 직역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제외되나, 일정 요건 충족 시 예외 적용

💰 지원 금액

  • 2025년 기준연금액: 월 최대 342,510원 (단독가구 기준)
  • 부부가구의 경우 각 20% 감액 적용
  • 소득 및 재산 수준에 따라 감액될 수 있음

📝 신청 방법

  • 신청 시기: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
  • 신청 방법:
    •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    •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
    • 온라인 신청: 복지로
  • 제출 서류:
    • 신분증
    • 기초연금 수급 계좌 사본
    • 소득·재산 신고서 등 (필요 시 추가 제출)
  • 찾아뵙는 서비스: 거동이 불편한 경우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요청 시 가정 방문 신청 지원

🔗 관련 링크

📞 문의처

  • 보건복지상담센터: ☎ 129
  • 국민연금공단: ☎ 1355

 

📘 기초연금 자주 묻는 질문 정리

✅ 1. 기초연금과 기초생활수급자의 차이점

항목 기초연금 기초생활수급자
목적 노후 소득 보장 기본 생활 보장
대상 연령 만 65세 이상 연령 제한 없음
지원 내용 월 최대 342,510원 지급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 등 종합 지원
소득 기준 중위소득 70% 이하 중위소득 30~50% 이하
재산 기준 완화됨 엄격함
중복 가능 일부 감액 또는 제외 다른 복지와 병행 가능

✅ 2. 재산이 많으면 기초연금을 못 받는 이유

기초연금은 '소득인정액' 기준을 초과하면 받을 수 없습니다.

  • 부동산, 예금, 주식 등 자산이 많으면 환산 소득으로 계산됨
  • 자녀 송금도 소득으로 반영될 수 있음
  • 실제 소득이 없어도, 환산된 재산 소득이 기준을 넘으면 탈락

✅ 3. 국민연금 없이 기초연금만 받을 수 있나요?

네, 가능합니다. 다음과 같은 경우 기초연금만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국민연금을 가입하지 않았거나 보험료를 내지 않은 경우
  • 국민연금 수령액이 낮아 기초연금 수급 기준을 충족한 경우
  • 국민연금 수령 여부와 무관하게 소득인정액 기준만 충족하면 가능

주의: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은 감액되거나 제외될 수 있음